모의고사 유형별 정리( 주장 ) - 학생용 교사용
모의고사 기출문제를 유형별로 분류해서 수업시간에 사용하시는데 도움이 되고자 만들었습니다.
학생들 모의고사 문제 푸는 방법 연습할때 유용합니다.(첨부파일 한글파일 참고)
2024_3월_고2_서울교육청_20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Too many times people, especially in today’s generation, expect things to just happen overnight. When we have these false expectations, it tends to discourage us from continuing to move forward. Because this is a high tech society, everything we want has to be within the parameters of our comfort and convenience. If it doesn’t happen fast enough, we’re tempted to lose interest. So many people don’t want to take the time it requires to be successful. Success is not a matter of mere desire; you should develop patience in order to achieve it. Have you fallen prey to impatience? Great things take time to build.
*parameter: 매개 변수, 제한
① 성공하기 위해서는 인내심을 길러야 한다.
② 안락함을 추구하기보다 한계에 도전해야 한다.
③ 사회 변화의 속도에 맞춰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
④ 기회를 기다리기보다 능동적으로 행동해야 한다.
⑤ 흥미를 잃지 않으려면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해야 한다.
2024_6월_고2_부산교육청_20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Most people resist the idea of a true self-estimate, probably because they fear it might mean downgrading some of their beliefs about who they are and what they’re capable of. As Goethe’s maxim goes, it is a great failing “to see yourself as more than you are.” How could you really be considered self-aware if you refuse to consider your weaknesses? Don’t fear self-assessment because you’re worried you might have to admit some things about yourself. The second half of Goethe’s maxim is important too. He states that it is equally damaging to “value yourself at less than your true worth.” We underestimate our capabilities just as much and just as dangerously as we overestimate other abilities. Cultivate the ability to judge yourself accurately and honestly. Look inward to discern what you’re capable of and what it will take to unlock that potential.
*maxim: 격언
① 주관적 기준으로 타인을 평가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
② 정확하고 정직하게 자신을 평가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③ 자신이 가진 잠재력을 믿고 다양한 분야에 도전해야 한다.
④ 다른 사람과 비교하기보다는 자신의 성장에 주목해야 한다.
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본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해야 한다.
2024_9월_고2_인천교육청_20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Merely convincing your children that worry is senseless and that they would be more content if they didn’t worry isn’t going to stop them from worrying. For some reason, young people seem to believe that worry is a fact of life over which they have little or no control. Consequently, they don’t even try to stop. Therefore, you need to convince them that worry, like guilt and fear, is nothing more than an emotion, and like all emotions, is subject to the power of the will. Tell them that they can eliminate worry from their lives by simply refusing to attend to it. Explain to them that if they refuse to act worried regardless of how they feel, they will eventually stop feeling worried and will begin to experience the contentment that accompanies a worry-free life.
① 아이가 죄책감과 책임감을 구분하도록 가르쳐야 한다.
② 아이가 스스로 불안의 원인을 찾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③ 아이의 감정에 공감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표현해야 한다.
④ 부모로서 느끼는 감정에 관해 아이와 솔직하게 대화해야 한다.
⑤ 아이에게 자기 의지로 걱정을 멈출 수 있음을 알려주어야 한다.
2024_10월_고2_경기도교육청_20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To be mathematically literate means to be able to think critically about societal issues on which mathematics has bearing so as to make informed decisions about how to solve these problems. Dealing with such complex problems throug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mirroring real-world problems requires innovative ways of planning and organizing mathematical teaching methods. Navigating our world means being able to quantify, measure, estimate, classify, compare, find patterns, conjecture, justify, prove, and generalize within critical thinking and when using critical thinking. Therefore, making decisions, even qualitatively, is not possible without using mathematics and critical thinking. Thus, teaching mathematics should be done in interaction with critical thinking along with a decision-making process. They can be developed into the mathematical context, so that there is no excuse to not explicitly support students to develop them.
① 비판적 사고를 통한 의사 결정 능력이 수학적 맥락에서 함양되어야 한다.
② 객관적 사고를 위해 사회 현상을 수학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③ 수학 수업의 과제는 실생활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연관되어야 한다.
④ 의사 결정 시 정량적인 방법에 치중해 정성적인 부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⑤ 수학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범교과적인 학습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고2 모의고사 유형별 독해 > 2024학년도 유형별 독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고2 모의고사 유형별 정리 (글의 순서) -학생용 교사용 (0) | 2025.02.13 |
---|---|
2024년 고2모의고사 유형별정리 (문단요약)-학생용 교사용 (1) | 2025.02.12 |
2024년 모의고사 유형별 정리( 제목 ) -학생용 교사용 (0) | 2025.02.10 |
2024년 고2 모의고사 유형별 정리( 요지) - 학생용 교사용 (0) | 2025.02.09 |
2024년 고2 모의고사 유형별 정리(주제) - 학생용 교사용 (0)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