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기출 어법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어법 29번

by 최겅영어 2024. 12. 29.
728x90
반응형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Think of yourself. When you decide to get up and get a  drink of water, for example, you don’t consciously organize or consider the host of steps involved. Imagine if  we  had to consider every single muscle that needed to be contracted or relaxed just to stand up and walk. It would be tiresome and very slow as patients recovering from a brain injury affecting the motor system knows. The autopilot parts of our brain do it for us automatically, freeing up our conscious mind for more important jobs. It is the older parts of our brain that support these automatic processes that allow us to move, hear, see, and use many of our social skills. More recently evolved abilities like talking, reading, and writing are far less automated. So, most of the time, what you are perceiving, feeling, or thinking is based on a very crude and fast analysis that happens completely without your awareness.

 

* crude: 투박한

 

 had 

If we had to consider every single muscle that need to~~

If 는 부사절과 명사절에 사용되는데 부사절인경우 "만약에~라면"으로 해석하고 명사절인경우 "~인지 아닌지"로 해석이 됨.

여기서는 Imagine 의 목적어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인지 아닌지"로 해석.

또한 If 절의 내용이 가정을 하는 상황으로 가정법 과거형 "if 주어 +동사의 과거형" 으로 어법상 틀린부분이 없음.

 knows

어법문제에 동사에 밑줄이 있는경우, 시제, 단수/복수, 능동/수동을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자.

일단 시제 전체적으로 현재 시제이므로 현재 시제는 맞다.

두번째 단수/복수. 동사 knows의 주어는 patients

as patients /recovering /from a brain injury /affecting the motor system // know

                 recovering은 앞에 명사  patients 수시.    affecting 은 앞에 brain injury 수식. 

주어  patients 따라서 동사는 복수  know 가 맞는데  knows 라서 어법상 잘못됨.

따라서 답  knows

 

 freeing

~ing 로 시작하면 , (컴마) 또는 . (마침표) 안에 동사가 있으면 동명사, 동사가 없으면 분사로 사용됨.

주어진    freeing up our conscious mind for more important jobs.에 동사가 없으므로 분사로 사용됨. 특히 부사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분사구문. 분사구문인 경우 주절의 주어와의 관계가 능동인지 수동인지 확인. 주절의 주어The autopilot parts 가 자유롭게 하는것이므로 능동관계 따라서  freeing 은 어법상 맞음.

 

 that

that 앞에 명사(선행사)가 있으면 관계대명사, 명사가 없으면 접속사

관계대명사인경우 뒷문장이 불완전함. 접속사인경우 부사성격이므로 뒷문장이 완전함.

④ that 앞에 명사가 있고 뒷문장이 불완전하기 때문에 어법상 맞음. 

 what 

what은 명사절에 사용되며 관계대명사나 의문대명사 즉 주어, 목적어, 보어 자리에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what 을 빼면 뒷문장이 불완전해야 함. 따라서 주어진  what you are perceiving, feeling, or thinking is based on a very crude 은 주어자리면서 뒷 문장  you are perceiving, feeling, or thinking 에서 목적어가 없기때문에 불완전. 따라서  what은 어법상 맞음.

 

 

728x90
반응형